NEWS

[화재]전기차 및 충전소 화재사고

본문

전기차 및 충전소 화재사고와 관련 대책

전기차 및 충전소 화재사고

 

.운남동 행정복지센터에 설치된 전기충전기에서 화재

(2022 0328일 오전 11 06)

 

진행과정

전기충전기 단자 화재발생  차량에 연결된 충전단자 제거

 소화기로 소화

 

.부산 동래구의 한 아파트 주차장에서 충전을 마치고 주차돼 있던

소형 밴 전기차에서 폭발동반 화재

(2022 02 09 오후 4 57)

 

해당 전기차를 포함해 차량 5대와 전기차 충전기 1기가

불에 타 소방서 추산 7650여 만원의 재산피해.

 

2시간가량 충전 후 포트를 분리해둔 상태에서 갑자기 화재발생.

 

.충남 태안군 태안읍 한 도로에서

2020년식 현대 코나 일렉트릭(EV)에서 화재

(2022 01 11일 오후 6 49)

 

 

 

전기차 및 충전소 화재대책

 

충전소 설치 의무화

2022년부터 전기차 충전설비 의무적으로 설치

기존 아파트

새 아파트

100세대 이상

공동주택

총 주차면수의 2%

총 주차면수의 5%

무조건 설치

 

2021 4 전기안전관리법’ 시행에 따라

신규로 설치되는 전기차 충전시설은

전기 안전 점검을 받은 후 사용해야 함.

 

화재발생 주원인

충전기 콘센트와 플러그

접촉 불량으로

스파크 발생이 화재로 발생

주행중

- 배터리자체 발열 화재

- 사고등 충격으로 배터리 화재

 

화재관련 대책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에서의 충전중 화재에 대한 대책이 절실

기존

개선안

준비작동식 또는 건식 스프링클러

설비는 화재시 물이

바로 방수되지 않는다.

.부동액을 사용한 습식시스템 도입

 

.화재확산방지를 위한 전기차 충전구역에 방화구획 도입

 

.충전설비 화재안전기준 마련

 

주행중 또는 주차중 배터리 화재

배터리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내부에서 열이 나면서 안전장치인 분리막이 파손.

이때 순식간에 1가 넘게 온도가 치솟는 열 폭주가 일어나

불씨가 계속 살아남기 때문에 화재진압이 어렵다.

이에 화재가 발생한 전기차는 대부분 전소된다.

 

불연소 재질로 만든 천(질식방화담요)

사고 차량에 씌워 산소를 차단해 화재를 진압.

 

조립식 소화수조를 활용해 화재 차량을 수조에 침수시켜 불을 진화

 

[참고]

1.질식방화담요를 이용한 화재진압


 

2.조립식 소화수조를 활용한 화재진압 


 

 

출처

- YTN

- 방재신문

- 한국방송뉴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